느낀점
우선적으로 캠프의 첫 주를 시작하고 가장 먼저 든 생각은 안일함이였다. 전공이 컴퓨터 공학이다 보니 과거에 어느 정도
배웠던 것들이니 쉽게 받아들일 수 있을 거라 생각하고 사전에 공부를 별로 안해뒀었다. 실제로 1주차를 진행하며
팀별 미니 프로젝트로 웹사이트를 만드니 기본적인 HTML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괜찮았으나 특히 서버도 직접 연동해
데이터를 저장하고 그를 통해 웹사이트를 구동시킬려하니 내 계정의 몽고디비가 안돌아 가기도 하고 미숙한 점이 많았다.
사전에 공부를 조금이라도 더 했으면 좀 더 수월하고 팀원에게 도움이 될 수 있었을 것 같은데 그 부분에 후회가 있었다.
학교에서 팀 프로젝트를 진행 해 볼 때는 선배나, 교수님 같은 리드를 해주는 사람이 있었으나 미니 프로젝트의 경우
4일안에 웹사이트를 기능, 서버, 데이터, 디자인 모두 만들어야하니 많이 촉박해서 역할 분배나 진행을 매끄럽게 하지
못한 것 같았다. 초기의 디자인이나 기능 와이어프레임을 작성할 때 주도적으로 진행했으나
구체적으로 역할을 분배하지 못했고, 기능과 그 이름들을 통합했어야 했는데 디자인 부분에만 처음에 신경써서
나중에 통합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던 것 같다. 하지만 안되는 만큼 팀원 5명 모두 다 같이 밤을 새가며 하나 씩 해결해
결국 생각했던 필수적인 기능을 구현해낸 만큼 그 성취감이 높았고 뭔가 해냈다! 이런 기분에 캠프에 대한 참여 의지도
많이 높아져서 오히려 순조롭진 못해도 정말 의미 있는 한 주였다고 생각이 들었다.
배운점
우선 기본적으로 HTML 구조 및 스크립트 등 웹 프로그래밍에 대해 복습하고 개념을 정리 할 수 있었다. 특히
몽고디비, 파일질라, git bash 등 처음 접해보는 프로그램이 많아 이런 다양한 툴들에 대해 알 수 있었다. 또한 JWT(정보를 비밀리에 전달하거나 인증할 때 주로 사용하는 토큰)의 암호화를 통해 웹페이지의 회원가입을 통해 서버에 회원 DB에 집어넣고 그에 포함되는 내용이라면 secret key 를 통해 토큰 발급 후웹페이지를 사용가능하게 하는 개념에 대해 배울 수 있었다.(즉 토큰 기반 인증방식으로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된
이후에 토큰을 발급 한 후 클라이언트쪽에서는 전달받은 토큰을 저장해두고 서버에 요청을 할 때마다
해당 토큰을 서버에 함께 전달한다. 그 이후 서버는 토큰을 검증하고 응답하는 방식으로 작동되는 형식이다.)마지막으로 API(운영 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)를 다양하게사용해보며(jQuery, javascript, 크롤링 등) 조금 더 동적이고 디자인 및 기능 부분에서도 어느 정도 업그레이드 된웹 사이트를 만들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 수 있었다.
+ 만든 사이트 github link (readme에 전반적인 구조, 기능, 실행 과정 등 첨부)
https://github.com/webtooon/WTlog
GitHub - webtooon/WTlog: 웹툰 리뷰 커뮤니티
웹툰 리뷰 커뮤니티. Contribute to webtooon/WTlog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.
github.com
'기록 > W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이노베이션 캠프]4주차 WIL (0) | 2022.08.28 |
---|---|
[이노베이션 캠프]3주차 WIL (0) | 2022.08.21 |
[이노베이션 캠프]2주차 WIL (0) | 2022.08.21 |